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터페이스 예제
- 배열
- as
- 컬렉션 초기화
- 추상 프로퍼티
- 분할 클래스
- 클래스
- 클래스 연습문제
- 형식변환
- 접근 한정자
- 메소드숨기기
- base()
- 이것이C#이다
- 가변배열
- 무명형식
- System.Array
- 튜플
- 배열초기화
- is
- 오버라이딩
- c#
- 자동구현프로퍼티
- this 키워드
- 프로퍼티
- 인터페이스 상속
- 중첩클래스
- 일반화 클래스
- 인덱서
- 인터페이스의 프로퍼티
- 프로퍼티와 생성자
- Today
- Total
목록C# (36)
제로의영역
* 본 블로그 글은 머리가 아~~~주 나쁜 왕X100초보가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잘못 정리되거나 제가 잘못 이해한 글은 이해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 공부는 '이것이 C#이다' 책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같은 왕초보가 보기 어렵게 써져 있어서 별도의 정리 문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1) 정의: 기존 클래스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법 (이게 뭔소리인가요?) >>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클래스와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클래스의 기능에 사용자가 새로운 메소드를 추가시키는 기법 (2) 용도: 기존의 클래스(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포함)안에 새로운 메서드 추가 또는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을 하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 (3) 사용법 1) static 한정자..
(1) 정의: 하나의 클래스를 여러 번에 나눠서 구현하는 것. (2) 용도: 클래스가 길어질 경우 여러 파일에 나눠서 구현하여 관리가 편하게 하기 위함. (3) 사용법: partial 키워드를 이용해 클래스를 수식. 예제)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7_16 { partial class MyClass //partial로 수식: 분할클래스1 { public void Method1() //메소드1 { Console.WriteLine("Method1"); } public void Method2() //메소드2 ..
* 본 블로그 글은 머리가 아~~~주 나쁜 왕X100초보가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잘못 정리되거나 제가 잘못 이해한 글은 이해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 공부는 '이것이 C#이다' 책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같은 왕초보가 보기 어렵게 써져 있어서 별도의 정리 문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1) 정의: 클래스 안에 선언되어 있는(만드는) 클래스 (2) 용도 1) 클래스 외부에 공개하고 싶지 않은 형식을 만들때 2) 현재의 클래스의 일부분처럼 표현할 수 있는 클래스를 만들 때 (3) 사용법 1) 클래스 안에 클래스를 선언함. 2)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클래스의 멤버(필드, 메소드, 프로퍼티, 이벤트 등)에 접근 가능.(private 멤버에도 접근 가능) 예제1) usi..
* 본 블로그 글은 머리가 아~~~주 나쁜 왕X100초보가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잘못 정리되거나 제가 잘못 이해한 글은 이해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 공부는 '이것이 C#이다' 책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같은 왕초보가 보기 어렵게 써져 있어서 별도의 정리 문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1) 정의: 메소드가 오버라이딩(재정의) 되지 않도록 하는 행위 (2) 용도 1)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 했을 경우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부모클래스의 메소드를 봉인할 때 사용. 2) 오버라이딩한 메소드는 파생 클래스의 파생 클래스에서도 자동으로 오버라이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virtual로 선언 된 메소드만 봉인하는 기능이 있음. 3) 봉인 메소드는 파생 클래스의 작성자를 위..
* 본 블로그 글은 머리가 아~~~주 나쁜 왕X100초보가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잘못 정리되거나 제가 잘못 이해한 글은 이해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 공부는 '이것이 C#이다' 책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같은 왕초보가 보기 어렵게 써져 있어서 별도의 정리 문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1) 정의: CLR에게 부모 클래스에서 구현된 버전의 메소드를 감추고 자식 클래스에서 구현된 버전만을 보여주는 것 ( 메소드를 감춘다니? 코드를 안보여준다는건가? 출력을 안시켜준다는건가? ㅡㅡ;; 인터넷을 뒤져보았습니다.) >> 재정의: 오버라이딩 되지 않은(virtual이 붙지 않은)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무시하고 자식 클래스의 메소드에서만 같은 이름으로 재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 본 블로그 글은 머리가 아~~~주 나쁜 왕X100초보가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잘못 정리되거나 제가 잘못 이해한 글은 이해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 공부는 '이것이 C#이다' 책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같은 왕초보가 보기 어렵게 써져 있어서 별도의 정리 문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1) 다형성의 정의: 객체(데이터와 메소드)가 여러 형태를 가지는 것. (2) 용도: 부모 클래스의 객체를 활용하면서 추가적으로 새로운 객체로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 (3) 사용법 1) 오버라이딩(재정의) 해줌: 오버로딩(하나의 메소드 이름에 여러 개의 구현을 올리는 것)과 헷갈리네요. 2) 오버라이딩을 할 메소드를 virtual 키워드로 한정 해줌 // 헉! 메소드는 '한정자+반..
* 본 블로그 글은 머리가 아~~~주 나쁜 왕X100초보가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잘못 정리되거나 제가 잘못 이해한 글은 이해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 공부는 '이것이 C#이다' 책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같은 왕초보가 보기 어렵게 써져 있어서 별도의 정리 문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형식 변환을 예제 중심으로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기억을 되새기기 위해 어제 작성한 글을 다시한번 정리해봅니다.(머리가 나쁜기 때문에 무조건 반복 ㅜㅜ) (1) 정리 1) 기반 클래스(이하 부모클래스)와 파생 클래스(이하 자식클래스)의 형식 변환도 형식 변환 연산자와 같은 형식이고 형식 변환 연산자(int, float 등)가 들어가는 자리에 변환시킬 '자식클래스'가 들어감. 2) is..
* 본 블로그 글은 머리가 아~~~주 나쁜 왕X100초보가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잘못 정리되거나 제가 잘못 이해한 글은 이해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 공부는 '이것이 C#이다' 책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같은 왕초보가 보기 어렵게 써져 있어서 별도의 정리 문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1. 형식 변환 (1) 정의: 변수를 다른 데이터 형식의 변수에 옮겨 담는 것 (2) 용도: 데이터 형식끼리 변환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3) 사용 방법: 데이터형식 + 식별자(변수의이름) = (변환할 데이터 형식) + 식별자(변수의 이름) float a = 0.9f; int b = (int)a;//float a를 int b로 형식 변환 2. 기반 클래스와 파생 클래스 사이의 형식..